-
아키쑤조회 수: 19346, 2017.03.31 19:47:57
-
개인적으로 마인드 마이스터를 크게 두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.
- 논문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
- 프로젝트 아이디어 리스트업 (이후 마이스터태스크 연동)
그 중에 논문 아이디어 브레인 스토밍을 하고 글을 써야할 때, 사용하면 좋을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.
맥을 사용하시는 분들에겐 어느정도 소문난 프로그램인 "스크리브너(Scrivner)"입니다.
윈도우로 보통 문서를 작성하시는 분들은 워드 또는 한글을 많이 사용하실텐데,
긴 글을 쓰면서 느끼는 문제점은,
1. 글의 목차가 바뀌었을 때 ctrl+c, v를 하다가 어느 순간 갈피를 잃는 경험
2. 글 옆에 메모를 하고 싶은데, 메모 기능을 쓰자니 마음에 안듬
3. 그래서 결국 출력 후 메모 또는 수정, 다시 컴퓨터 수정
등등
나열하면 끝이 없습니다.
"워드 또는 한글프로그램 + 포스트잇 + reference 링크" 기능이 적절히 섞여 있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.
일단 프로그램 사용법에 관해 아주 친절한 101 영상이 있는데, 아래에 주소를 기입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제 블로그는 아닙니다. 그냥 저도 인터넷에서 찾게된 영상입니다.
http://jinzzabegi.com/?p=2753
흥미가 좀 생기셨다면, 저처럼 30일 체험판을 써보시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.
https://www.literatureandlatte.com/scrivener.php
그냥 프로그램 설치 후, 시험판을 사용한다고 클릭하면 바로 사용가능합니다.
맥에서 더 잘 돌아간다고 하는데, 제 윈도우 pc 에서 사용해본 결과, 문제 없이 사용하고 있습니다.
아직 제 맥북엔 안 깔아봤습니다.
파일 확장자가 잘 맞아서, 추후에 마인드마이스터와도 연동이 되면 좋겠군요.
물론 불러갈 방법이 있긴합니다. 마인드마이스터에서 rtf 파일로 변환한 것을 스크리브너에서 import 하면 됩니다.
흠- 나쁜 방법은 아니지만, 위계별로 알아서 개요 텍스트로 변하면 얼마나 더 좋을까 생각해봤어요.
번호
|
제목
|
닉네임
| ||
---|---|---|---|---|
√ |
스크리브너 소개
+3
| 아키쑤 | 19346 | 2017.03.31 |
7 | 만독불침 | 4653 | 2017.03.23 | |
6 | 공돌이 | 17556 | 2017.03.16 | |
5 | 공돌이 | 1151 | 2017.03.16 | |
4 | 공돌이 | 14222 | 2017.03.09 | |
3 | 공돌이 | 373 | 2017.02.24 | |
2 | 공돌이 | 844 | 2017.02.23 | |
1 | 공돌이 | 603 | 2017.02.23 |